형사사건 고소장 작성방법, 고소장 서식 무료다운로드

형사 고소장 서식.hwp
0.06MB

 

 

 

1. 고소장의 기본 개념

고소장은 특정한 범죄 행위를 수사기관에 신고하여 수사를 요청하는 문서입니다. 작성 시 객관적 사실과 법적 근거를 명확히 제시해야 하며, 피고소인(피의자)의 범죄 혐의를 구체적으로 기술해야 합니다.

간단한 사건은 피해자 본인이 직접 작성가능합니다.

 

1-1. 고소 가능한 범죄

고소는 형사 사건에서 적용되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범죄에 대해 고소장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 폭행, 협박, 명예훼손, 모욕죄
  • 사기, 횡령, 배임죄
  • 성범죄(성추행, 강간 등)
  • 명예훼손, 모욕죄(온라인 포함)
  • 지적재산권 침해(저작권법 위반)
  • 스토킹, 주거침입 등 개인 안전과 관련된 범죄

고소가 가능한지 여부는 법률적 검토가 필요할 수 있으며, 변호사의 자문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고소장 작성 요령

고소장은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구성되며, 각 항목을 빠짐없이 기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1. 제목

"고소장"이라는 제목을 문서의 최상단에 작성합니다.

2-2. 고소인 및 피고소인 정보

  • 고소인(신고하는 사람)
  • 피고소인(고소당하는 사람)

고소인의 신원은 반드시 명확하게 기재해야 하며, 피고소인의 정보가 부족할 경우 알고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자세히 적어야 합니다.

2-3. 범죄 사실 및 내용

이 부분은 고소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아래 사항을 포함해야 합니다.

  1. 사건 발생 일시 및 장소
  2. 범죄 행위 및 경위
  3. 증거 및 증인
  4. 피해 내용 및 법적 근거

2-4. 수사 요청 사항

  • 피고소인의 범죄 혐의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요청하는 내용을 작성합니다.
  • 필요시 추가 증거 제출 가능성을 언급합니다.

3. 고소장 서식

  - 파일 첨부 (상단 링크 클릭하여 다운로드 하세요)

 

4. 고소장 제출 방법

4-1. 제출 기관

고소장은 다음 기관 중 하나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1. 경찰서 (수사 개시 기관)
  2. 검찰청 (법적 검토 후 수사 지휘)

4-2. 제출 방법

  • 직접 방문하여 제출하는 것이 가장 확실함.
  • 우편으로 제출할 수도 있으나, 접수 여부 확인 필요.
  • 변호사를 선임하면 대리 제출 가능.

5. 고소장 작성 시 유의사항

5-1. 명확하고 구체적인 내용

  • 감정적인 표현보다는 객관적 사실을 바탕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 증거가 부족할 경우, 조사 과정에서 추가 증거를 제출할 수 있도록 대비합니다.

5-2. 허위 고소 금지

  • 허위로 고소장을 제출하면 **무고죄(형법 제156)**에 해당하여 처벌될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사실을 바탕으로 고소장을 작성해야 합니다.

5-3. 법률 전문가 상담

  • 복잡한 사건이거나 증거 확보가 어려운 경우, 변호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법률 상담을 통해 고소장 작성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6. 결론

고소장은 법적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문서이므로, 정확하고 객관적인 내용을 담아야 합니다. 범죄 사실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와 법적 근거를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며, 필요하면 변호사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고소장이 접수되면 수사기관의 판단에 따라 조사 및 처벌 여부가 결정되므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위 내용을 참고하여 효과적인 고소장을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고소장 내용도 중요하지만 담당 수사관의 능력이 제일 크게 좌우하는것이 현실입니다. 유능한 수사관이 사건을 담당하면 구속까지도 가능한 사건이라도, 무능하거나 게으른 수사관이 담당하면 무혐의(불기소) 처분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피의사실 입증책임은 수사기관에 있지만 피해자의 도움도 필요합니다. 사건의 진실은 수사관보다  피해자가 더 잘알기 때문입니다.

 

피해자는 감정에 휩쓸려 가해자의 모든 내용이 거짓이라는 주장(예를들어 입만열면 거짓말, 모든 것이 거짓말)보다는 구체적 증거로 입증된 내용 근거로 거짓이라는 주장을 하셔야 법정에서도 판사에게 피고인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심증을 강하게 줄 수 있습니다. 증거가 없거나 부족한 내용을 여러가지 주장하는 것보다 증거가 확실한 내용을 한가지  주장하는 것이 훨씬 이득입니다. 

 

그리고, 경찰, 검찰 대질조사나 진술 할 때 수사관(수사기관)이 피고소인(피의자) 편을 든다는 주장은 가급적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수사관은 고소인이나 피고소인과 아무런 관련이 없고 편파수사를 한다는 얘기를 들으면 '굳이 이런 얘기를 들으면서 열심히 수사를 해줘야 하나'라는 생각이 드는것은 인간이라 어쩔수 없습니다.  담당 수사관을 믿고 수사관이 협조요청하는 내용을 성실하게 도움을 주시기 바랍니다. 그런 이후에 수사관이 피고소인이나 피고소인의 변호인과 친인척관계 금품수수등 비위사실이 확인된다면 그러한 내용을 적시하여 수사관 교체를 신청하시기 바랍니다.